고려가요의 내용과 표현방식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1-06 20:18
본문
Download : 고려가요의 내용과 표현방식.hwp
속가를 그것의 내용적 特性(특성)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
①戀情: <쌍화점>, <이상곡>, <만전춘>
②男女別離: <서경별곡>, <가시리>
③夫婦愛: <정읍사>
④肉親愛: <사모곡>
⑤巫祝: <동동>, <처용가>
⑥現實逃避: <청산별곡>
속가를 내용과 特性(특성)에 따라 분류하여 볼 때 男女 愛情에 관련된 것이 주류를 이룬다. 이와 같은, 그다지 통제되지 않은 사회 구조 속에서 고려 시대 남녀에게는 자주 자연스러운 만남이 허용되고 애定義(정의) 개방성이 극대화되어 서로의 감정을 주저 없이 토로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주어졌던 것이다. 또한 여자 호주제도 있었고, 여자의 재혼이나 재가가 사회적으로 불리하게 처우되지도 않았으며 비판받지도 않았다.




레포트/인문사회
고려가요의내용과표현방식
,인문사회,레포트
순서
설명
고려가요의 내용과 표현방식
Download : 고려가요의 내용과 표현방식.hwp( 80 )
고려가요의 내용과 표현방식>고려가요의내용과표현방식 , 고려가요의 내용과 표현방식인문사회레포트 ,
고려가요의 내용과 표현방식>
1.고려가요의 내용
고려가요(속가)의 내용을 살펴보려면 지금까지 가사가 전하는 속가와 가사가 전하지 않더라도 부대기록을 통해 내용을 알 수 있는 속가를 주된 대상으로 삼을 수밖에 없다. 그래서 연정과 이별, 이로 인해 생긴 정서를 제재로 한 가요가 민중 사이에서 자연적으로 많이 형성되었으리라 생각된다
가시리 가시…(To be continued )
다. 그런가 하면 고려 사회는 근친상간이 유행했으며, 충렬왕 때에 와서야 외종형제와 통혼하는 것을 법으로 금하게 외었다.
이는 고려 사회의 구조적 特性(특성)과 고려 백성들의 의식에서 찾을 수 있다 고려 사회는 가부장적 부계친족 윤리를 강조한 조선의 유교 사회와는 달리, 여성의 지위가 어느 정도 강화된 수평적 사회로 여성이 남성에게 종속되지 않았다. 그래서 여성관인도 많아 여성의 사회활동은 비교적 자유로웠다. 이런 여러 가지로 볼 때 속가의 내용은 남녀의 사랑에 관계된 일을 노래한 것이 절대 다수였으리라 생각할 수 있다 그 한 이유는 속가가 조선조 유학자들의 지탄을 받아 많이 유실되었음에도 남녀관계를 노래한 애정요가 지금까지도 많이 남아 있다는 점이다. 그리고 이런 작품들을 대상으로 추출한 내용은 고려시대의 속가 전반을 모두 포괄한 것이라고는 기대하기 어렵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