민족의 이질화로 인해 달라진 남북의 언어
페이지 정보
작성일 21-08-26 21:49
본문
Download : 민족의 이질화로 인해 달라진 남북의 언어.hwp
민족의 이질화로 인해 달라진 남북의 언어


민족의 이질화로 인해 달라진 남북의 언어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, 남북한의 언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남북한의 언어동질화에 대해 정리(arrangement)했습니다. , 민족의 이질화로 인해 달라진 남북의 언어인문사회레포트 ,
들어가며
▪ 말소리의 차이
▪ 조어법의 차이
▪ 어휘의 차이
북한말의 실상을 파악하는 일의 의의 및 앞으로의 課題
어휘 부분은 목적성이 강한 북한의 언어 정책으로 이질성이 가장 심하여 의사 소통에 장애를 가져온다. 같은 의미를 다른 형태의 단어로 나타내는 경우 도는네거리(로터리), 샤워실(물맞이탄), 커튼(주름막), 삐삐(주머니종),/산택길(유보도), 대중 가요(군중 가요),
• 이념 체제의 등장으로 생긴 어휘 → 군중 로선, 로동 교양소, 만가동, 밥공장, 속도전, 후비대
• 고유어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단어 → 마사버리다, 우등불, 불무지, 토스레, 흔들레판
• 평안도, 함경도 방언이 culture어로 받아들여진 경우 → 망돌(맷돌), 부루(부추), 아츠럽다(애처롭다), 게사니(거위), 인차(곧)
• 러시아 어휘의 影響(영향)을 받은 경우 → 꼼무나(공동 집단), 그루빠(그룹), 뜨락또르(트랙터)
• 의성어, 의태어가 다른 경우 → 왈랑절랑 방울소리, 씨엉씨엉 배를 몰았습니다, 아글타글 애를 쓰면서
북한말의 실상을 파악하는 일의 의의 및 앞으로의 課題
우리는 지금까지 남북한의 언어 차이에 대해 살펴 보았다.
설명
,인문사회,레포트
순서
레포트/인문사회
Download : 민족의 이질화로 인해 달라진 남북의 언어.hwp( 54 )
민족의 이질화로 인해 달라진 남북의 언어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, 남북한의 언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남북한의 언어동질화에 대해 정리했습니다. 남북한의 언어는 표준 발음의 기…(투비컨티뉴드 )
다. 형태는 같으나 의미가 다른 경우 및 原因 동무, 인민, 아가씨, 빨치산, 어버이, 궁전, 천리마, 예술 사회제도의 차이에 따른 언어관 및 언어 정책의 차이로 일어난 현상이다.